강화도령에게 질문하기/➽ 강화도소식

北 강령반도·개머리지역에 조력발전소 검토(경기일보)

한결공인중개사 2012. 1. 11. 14:58

인천시 서해평화협력 특별지대 구축 방안 연구

2012년 01월 09일 (월) 이민우 기자 lmw@kyeonggi.com

‘지역갈등·환경 논란’ 강화·인천만 조력발전소 대안

“당장 실현성 없지만 남북 협력사업으로 추진 필요”

 

환경파괴 및 경제성 과다 논란이 끊이질 않는 강화 및 인천만 조력발전소에 대한 대안으로 북한의 강령반도와 개머리지역 인근을 연결하는 발전소 건립 방안이 제시됐다.

 

8일 인천시에 따르면 정부는 총 사업비 3조9천억원을 들여 인천만인 강화도∼장봉도∼용유도∼영종도를 잇는 1천320㎿ 규모의 인천만 조력발전소를, 시는 강화도~교동도~서검도~석모도를 잇는 840㎿ 규모의 강화 조력발전소를 각각 2017년 완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다.

 

그러나 시는 최근 마련한 서해평화협력 특별지대 구축 실행방안 연구를 통해 두 사업 모두 추진 가능성이 비관적이라고 분석했다.

 

각각 인천만을 중심으로 생계를 유지하고 있는 어민들의 삶의 터전 상실과 환경파괴에 대한 반발이 큰데다 주민과의 협의 없는 일방적인 사업 추진으로 지역 갈등이 심각하다는 게 이유다.

 

특히 두 조력발전소의 대안으로 북한의 옹진군 강령반도나 개머리지역과 인접된 도서를 연결하는 새로운 조력발전을 북측에 제안, 남북 협력사업으로 추진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됐다.

 

강령반도는 북한 해안포 기지가 많은 지역이며, 개머리지역은 연평도 포격사건의 중심 지역이다.

 

조력발전소는 남측이 자재를, 북 측이 인력을 각각 제공하는 형태로 건설하고, 생산되는 전력은 해주공단·개성공단·인천 등에 공급한다.

 

다만, 북측 지역에 대한 타당성 조사와 환경영향 평가, 주민들의 의견도 적절한 형태로 반영되어야 한다고 전제했다.

 

하지만 급변하는 남·북 관계를 봤을 때 당장 실현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

 

개성공단의 경우 남·북 관계가 친밀했는데도 사전 협의만 수년이 걸렸고, 협약을 맺고도 착공까지 3년여가 넘게 걸리는 등 통일부의 승인과 북한의 동의를 받는 게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서해평화협력지대 구축을 위한 새롭고 상징적인 사업으로 검토하는 단계이며, 아직 시책으로의 채택 여부도 결정되지 않은 상황”이라며 “향후 구체적으로 경제성 등을 추가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민우기자 lmw@kyeongg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