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령에게 질문하기/➽ 강화도에서 나의 이야기

<강화도소식> '인천만 조력발전'대립보다 대화를 사설(인천일보)

한결공인중개사 2012. 5. 3. 18:00

<강화도소식> '인천만 조력발전'대립보다 대화를 사설(인천일보)

2012년 04월 30일 (월)

 

인천만조력발전을 둘러싼 찬반 논란이 다시 불 붙고 있다. 건설에 찬성하는 주민들은 '발전소유치추진협의회'를 꾸리고 지난 26일 기자회견을 통해 인천시의 적극적인 유치노력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만 조력발전소 건설은 한국수력원자력과 GS건설이 3조9천억 원을 들여 영종도-장봉도-강화도를 방조제로 연결하는 발전 용량 1천320㎿ 규모의 발전소를 짓는 사업으로 이미 지난 2010년 6·2지방선거 때 입후보자들이 뜨거운 찬반 논쟁을 벌였을 만큼 지역사회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지 오래다.

당시 송영길 인천시장 후보와 야권 연대는 '건설 반대'를 포함한 88개 정책협약에 합의했다. 이에 인천시는 '조력발전사업은 전력생산 등 실익에 비해 갯벌 손실, 수질 오염, 홍수 통제기능 상실 등 손실이 더 크다'며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물론 이 사업은 국토해양부 중앙연안관리심의회 심의를 거쳐 공유수면매립기본계획에 반영돼야 본격 추진된다. 하지만 지난해 6월 서류미비 등을 이유로 중앙연안관리심의회 안건으로 상정되지 않았다. 그런 가운데 4·11 총선이 끝나자 주민들이 "인천만조력발전 사업시행은 부족한 에너지 문제해결과 낙후된 지역을 균형발전케 할 수 있는 호기"라며 조기건설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인천만조력발전 논란의 이면엔 필연적으로 충돌할 수밖에 없는 인류의 모순이 함축돼 있다. 에너지 자원고갈과 지구온난화를 극복하기 위해 친환경 대체 에너지원을 확보해야 한다는 지구촌 공통의 과제가 한 축이다. 반면 인위적 자연변형을 통한 에너지원 개발이 몰고올 지 모를 환경재앙에 대한 우려감이 다른 축을 이룬다.

 

우리는 조력발전의 가부를 정하려면 이성적인 '논의의 장'이 마련돼야 함을 지역사회 구성원과 정부당국에 당부한다. 이를 위해서는 조력발전이 미칠 환경적 영향, 주민 피해, 지역개발 및 관광 활성화, 효용성 등을 객관적으로 검토·분석할 민관 공동의 논의테이블이 마련돼야만 한다. 여기에는 마땅히 찬반 양쪽의 기관·단체·주민 대표자가 고루 참여해야 한다.

 

 

 

 

강화도한결부동산 이장욱 010-8285-2384

  http://blog.daum.net/leejang667